티스토리 뷰
목차
인터넷 브라우저 크롬을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사용하다가 언제부턴가 검색을 하기 위해서나 글을 쓰기 위해서 글을 작성하다가 보면 렉이 생기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렇게 느려지는 현상을 해결하기 위해서 몇가지 체크를 해야합니다. 제일 먼저 확인해야 하는건 크롬만 프리징 현장이 생기는지 아니면 다른 브라우저도 프리징 현장이 있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이방법은 크롬 프리징 현장을 해결하는 방법입니다. 다른 브라우저도 프리징 현장이 생긴다면 그거는 컴퓨터 스펙에 따라서 업그레이드 해야 할수도 있습니다. 그럼 해결하는 방법은 공유 하겠습니다.
크롬 브라우저 프리징 현상 해결방법
크롬 브라우저 프리징 현상으로 원도우를 재설치해도 몇일만 사용하니깐 또 느려지는 현상이 생깁니다. 컴퓨터 스팩이 i7-10세대에 램은 16기가도 컴터 스팩은 낮은건 아닌데 느려지는 현상 때문에 사용이 불편합니다. 그래서 몇가지 방법으로 수정하니깐 어느정도 해결되서 공유합니다.
1. 크롬 브라우저 업데이트
모든 프로그램은 완벽한 프로그램은 없습니다. 그래서 모든 프로그램 계속해서 버전 업을 해서 다른 출시하면 업데이트로 버그나 기능을 추가해서 재배포합니다. 크롬도 똑같습니다. 크롬을 재설치 하시거나, 크롬 브라운저 버전을 확인하시고 최신버전으로 업데이트 해야합니다.
크롬 버젼 확인하는 방법은 크롬 브라우저 창을 종료하는 X표시 바로 아래 점3개를 누루시면 설정이 있습니다. 설정창으로 들어가서 크롬 버젼 확인 가능합니다. 여기서 업데이트도 가능합니다.
2. 미사용 확장 프로그램을 설정 해제 또는 삭제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시면 여러가지 확인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IP변경, 사이트 번역등 편리한 다양한 확장 프로그램을 사용합니다. 여기서 불필요한 확인 프로그램 삭제 하시고 자주 사용하지 않는 확장 프로그램은 설정 해제 해야합니다. 크롬 브라우저에 프리징 현장을 해결해야 하는것이니, 크롬에서 리소스을 사용하는 프고그램은 해제 또는 삭제를 하면 브라우저의 성능을 높일 수 있습니다.
삭제하는 방법은 크롬 설정에 들어가면 확장 프로그램에서 삭제 또는 해제를 하시면 됩니다. 들어가는 방법은 위에 설정창에서 하시거나 크롬 검색창에서 chrome://extensions 입력하시면 설정하는 창이 나옵니다.
3. 브라우저 데이테 삭제
인터넷 기록, 쿠키, 캐시 파일 등의 브라우저 데이터를 삭제하면 됩니다. 오래된 데이터 때문에 브라우저가 늘려지는 경우가 생깁니다. 그리고 시스템 성능뿐만 아니라 개인정보보호 및 보안도 향상됩니다.삭제하는 방법은 크롬 설정창에 개인 정보 보호 및 보안에서 삭제가 가능합니다.
4. 구글 플래그에서 Occlusion수정
Occlusion 이란?
Calculate window occlusion on Windows는 사용 중인 탭의 자원을 최적화하는 옵셥으로 메모리 사용률을 낮추기 위해 도립된 기능입니다. 현재 사용 중인 탭을 최우선 순위로 하고, 사용하지 않는 탭의 메모리 사용을 낮춘는 것입니다. 이 기능 때문에 크롬 프리징 현장이 일어납니다. 로딩에 문제가 생각하시면 됩니다. 그래서 이 기능을 사용중지 하시면 됩니다.
- 크롬 실행 > 검색창에 chrome://flags 입력
- 서치 Flag 검색창에서 occlusion 입력
- Calculate window occlusion on Windows 기능을 디폴트에서 사용 안함으로 변경
- Relaunch 클릭후 크롬 창 재실행
5. 크롬 설정 초기화
크롬 기본 설정창에서 크롬 설정 초기화를 합니다. 기본으로 나도 모르는 이유도 가끔 크롬이 이상 작동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거는 사용자가 설정을 한것도 있지만 직접 설정을 하는것보다 나도 모르는 사이에 필요없는 확장 프로그램이 설치 되는 경우가 있는데 이 프로그램 회사들이 자기가 만든 프로그램을 사용하기 편리하기 위해서 설정이 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런 경우는 사용자를 어떤 설정이 된건지 확인이 불가능하며 이런 설정은 우리가 사용을 하는데 필요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즉, 대부분은 광고등을 노출하기 위해서 설정되는 경우인데 이러면 크롬에 리소스만 높아지고 불필요한 광고 뜨는 경우가 있습니다. 그래서 이런 부분 떄문에 크롬을 설정을 초기화하면 어느정도 해결이 됩니다.